조리원에서 나오는 날 출생신고를 하였다.
출생신고는 태어나고 한 달 이내에 해야 하며 한 달이 넘어갈 경우 과태료가 부과되는데 조리원에서 퇴소하는 날이 한 달 이내이기 때문에 기간은 충분하였다. 퇴소하는 날 남편이 아주 바쁜 날이었다.
아침에 첫째를 등원시켜 놓고 나와 둘째를 데리고 집에 데려다준 다음에 출생신고를 하기 위해 주민센터를 방문하였다.
온라인으로도 출생신고가 가능하지만 출산 후 지원되는 것들을 함께 한 번에 신청하기에는 직접 주민센터에 방문해서 하는 게 간편하였다.
출생신고 준비물
아기 이름 : 아기 이름과 한자를 출생신고하면서 함께 적어야 한다.
출생증명서 : 출산병원에서 퇴원할때 발급해 주는 출생증명서 원본이 필요하다.
신분증 : 부와 모 모두의 신분증.
가족관계증명서 : 등록기준지를 적기 위함. 기본증명서로 대체 가능.
통장 사본 : 각종 수당을 지급받을 통장 사본
우리는 등록기준지는 주민센터에서 신청하면서 기본증명서를 발급받아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신분증과 출생증명서 원본만 챙겨서 주민센터에 방문하였다. 통장 사본도 안 챙겨 갔더니 당일날 바로 통장사본을 담당자 메일로 보냈더니 곧바로 처리해 주셨다.
용인시 출산 지원 혜택
출산지원금
신청한 다음달 25일(익월 25일)에 제출한 통장으로 현금으로 지급된다. 출생일로부터 1달 이내에 신청 가능하며 용인시에 180일 이상 거주자면 받을 수 있다. 우리는 둘째라서 50만원을 지급 받았는데 신청 다음 달에 들어오니 잊고 있다가 갑자기 돈이 생긴 기분이 들어서 좋았던 것 같다.
첫째 : 30만원 / 둘째 : 50만원 / 셋째 :100만원 / 넷째 : 200만원
경기도 지역화폐 지원 50만원
출생일 및 신청일 기분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는 사람이 대상이며 지역화폐 카드에 지급된다. 실물카드는 필요하지 않고 신청자 신분증만 있으면 지역화폐 카드로 받을 수 있다. 지역화폐는 산후도우미 결제 비용 중 일부를 대체하여 결제하였다.
첫만남 이용권
바우처로 지급되며 온라인으로 출생신고를 하였다면 복지로에서 신청이 가능하다. 임신기간 중 사용하였던 국민행복카드의 바우처로 받을 수 있으며 현금성 상품권을 제외한 대부분의 업종에서 사용이 가능하였다. 기존에 일괄 200만원 지원되던 것이 2024년 1월 1일부터는 둘째는 300만원이 지급된다.
첫째 200만원 / 둘째 : 300만원
일반 카드 사용하듯이 사용할 수 있어서 편리하였다. 조리원 비용 일부를 결제하고 남은 비용을 생활하면서 사용하였는데 배달음식시켜 먹는데 거의 다 사용한 거 같다.. 허허... 삼성카드는 쓸 때마다 카톡으로 알림이 와서 잔액이 점점 줄어드는걸 바로 확인할 수 있어서 편리하였다.
부모급여와 아동수당
부모급여는 만 0~1세 아동에게는 100만원 만 1세 이후는 50만원이 지급된다. 어린이집을 가는 경우 어린이집 비용을 제외한 금액이 지급된다고 한다. 아동수당은 만 8세 이하의 아동에게 10만원씩 지급이 된다. 매달 25일에 신청한 계좌로 지급받게 된다. 계좌 변경은 복지로 사이트에서 가능하다.
다자녀 출생축하 교통비 10만원
둘째 이상을 출산한 가정에 해당하며 용인시에 180일 이상 거주한 경우 10만원이 들어있는 선불카드 형태 (T-money)의 교통카드가 지급된다.
용인시 출생 축하용품
아이조아용 박스라고 불리는 것인데 15만원의 포인트가 지급되고 출생일로부터 1년 이내에 신청가능하다. 온라인 몰에서 15만 포인트 상당의 물품을 신청해서 택배로 받는 형태인데 15만원을 한 번에 써야 한다.
아이조아용 설렘박스 사이트에서 출생신고하면서 카카오톡으로 받은 인증번호를 넣고 들어가면 다양한 물건들을 선택할 수 있다.
용인특례시 아이조아용 설렘박스 :: 셀렘을 담다, 용인시 출산용품지원사업
용인시에서는 출생 축하 및 육아부담 경감으로 출생친화적 환경조성하기 위해 출산용품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아이 기쁜 ‘출산특례시’ 용인시에서 행복한 출산과 육아를 응원합니다!
yonginijoayong.com
신생아 때 필요한 물품들은 이미 사둔 상태라 커가면서 필요한 것들 위주로 몇 개 골랐다. 그리고 15만원으로 딱 맞춰서 채우기 위해 마지막에 3000원짜리 세탁비누까지 넣으면서 15만원 딱 맞춰서 배송하였다.
맘튼튼 출산물꾸러미
2024년 용인시에 출생신고를 한 산모를 대상으로 하는 지원사업이기 때문에 산모가 직접 신청해야 한다. 지원기간은 올해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내년에도 할지는 알 수 없다. 경기민원24 사이트에서 신청가능하며 한우 국거리용과 불고기를 선택해서 신청하면 택배로 받는다.
신청방법 : 경기민원24 사이트 메인화면의 통합검색에서 맘튼튼 검색하면 나오는 배너를 클릭해서 들어가면 신청하기 버튼을 클릭해서 신청이 가능하다.
https://gg24.gg.go.kr/main/main.do
경기민원24
다양한 신청 서비스 등 경기도민 대상 행정서비스 제공
gg24.gg.go.kr
공공요금 감면 혜택
전기요금 : 출산가구 또는 다자녀가구에 한해 적용이 되는데 한전 고객센터(번호 123)에 전화해서 신청할 수 있고 30% 감면받을 수 있다.
3자녀 이상의 다자녀 가구는 도시가스, 지역난방, 상하수도 요금 감면 혜택도 주어지는데 우리는 해당되지 않지만 한도가 너무 적어 보이긴 하다.
도시가스 삼천리 고객센터 : 1544-3002
지역난방공사 : 1688-2488
유축기 대여
등록된 관할구의 보건소에서 유축기 대여가 가능하다. 출산 후 한 달 이내에 신청이 가능해서 조리원에서 나와서 대여를 하였다. 대여하기 전에 보건소에 물량이 있는지 먼저 전화해 보고 방문하였다. 준비물은 산모 본인 신분증과 출생증명서는 핸드폰 사진으로 보여주었다. 입구에서 신청서 작성 후 대여하였다. 스펙트라 본체와 소모품이 대여되는데 소모품은 일반형이 아닌 와이드 M이었고 호환되는 젖병을 따로 구매해서 사용하였다. 반납할 때는 본체만 반납하면 된다. 그리고 대기자가 없는 경우 1회 (2주) 정도 연장이 가능하기 때문에 반납 하루 전에 모자보건센터에 전화해서 연장 가능여부를 확인하였고 전화로 1회 연장하여 사용하였다.
수지보건소 모자보건 지원센터 031)324-8926
낮에는 수유텀 맞춰가며 직수를 하니 유축할 일이 거의 없는데 주로 밤중 수유 중에 많이 사용하였다. 아이가 한쪽만 먹고 잠들어 버리는 경우가 많아서 먹지 않은 반대쪽을 유축하는데 사용하였다. 유축기 반납할 쯤 부터는 양쪽 다 먹어주는 경우가 많아서 다행이었고 양쪽다 안먹는 경우에도 밤중수유를 끊어버릴 생각으로 유축하지 않았다.
SRT와 KTX 다자녀 할인
SRT와 KTX는 둘째부터 다자녀 할인을 받을 수 있다.
SRT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마이페이지 > 다자녀 신청하기 버튼클릭하니 바로 승인완료가 되었다.
어른 1명을 포함하여 3명 이상 결제 시 둘째는 30% 셋째는 50% 요금할인이 된다. 임산부 때 이용해 보니 일반객실은 전체 요금의 30% 할인이 들어가지만 특실 같은 경우엔 운임비용만 할인이 들어가는 차이점이 있었다. 그리고 할인 티켓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필요한 경우 할인된 기차표를 이용하기 위해 한 달 전에 미리 예매해두는 편이다.
승차권 예약/발매 - 국민철도 SR
시간 선택 16시 이후 00시 이후 02시 이후 04시 이후 06시 이후 08시 이후 10시 이후 12시 이후 14시 이후 16시 이후 18시 이후 20시 이후 22시 이후 어른수 선택 어른(만 13세 이상) 0명 어른(만 13세 이상) 1
etk.srail.kr
KTX는 홈페이지 로그인 후 마이페이지에 들어가면 다자녀행복이라는 항목에 신청하기 버튼을 클릭하면 개인정보 동의를 체크하고 주민번호를 넣어 인증하기 버튼을 누르면 가족정보입력하기 화면이 나온다. 아이들의 생년월일이 자동으로 입력되어 있어서 이름을 넣고 등록하기 버튼을 클릭하면 등록이 완료된다.
https://www.letskorail.com/ebizprd/prdMain.do
레츠코레일 LetsKorail
한국철도공사, 레츠코레일, 승차권 예매, 기차여행상품, 운행정보 안내
www.letskorail.com
'일상다반사 > 육아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모급여 지급계좌 변경 방법 (4) | 2024.11.16 |
---|---|
4개월 아기 수유 잠 발달 육아일기 (3) | 2024.11.09 |
분당제일여성병원 경산모 유도분만 성공 자연분만 후기 (0) | 2024.08.19 |
출산 준비물 리스트 꼭 필요한 물건만 챙겨보기 (0) | 2024.06.17 |
산후도우미 정부지원 신청 제공 업체 확인 후 수지구 보건소 방문 (0) | 2024.05.24 |
댓글